Research Article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30 March 2019. 39-53
https://doi.org/10.12814/jkgss.2019.18.1.039

ABSTRACT


MAIN

  • 1. 서 론

  • 2. 현장시험

  •   2.1 개요

  •   2.2 시험방법

  •   2.3 현장시험 결과

  •   2.4 현장시험 결과 분석

  • 3. 3차원 유한요소해석

  •   3.1 모델링

  •   3.2 설계정수

  •   3.3 양방향재하시험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

  •   3.4 정적압축재하시험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

  • 4. 3차원 유한요소해석 결과 분석

  •   4.1 양방향재하시험과 정적압축재하시험의 거동 차이 분석

  •   4.2 지지력 산정 방법

  •   4.3 양방향재하시험과 정적압축재하시험의 관계

  •   4.4 3차원 유한요소해석의 타당성 검증

  • 5. 결 론

1. 서 론

현재 대형 구조물, 고층 건축물 등에 대한 건설공사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큰 하중의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말뚝의 지지력 또한 커지고 있어 바렛말뚝과 같은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시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바렛말뚝(Barrette Pile)은 PRD(Percussion Rotary Drill),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공법에 비해 시공 속도가 빠르고, 지중연속벽 공법에서 사용하는 건설장비와 동일한 장비를 이용하여 굴착하기 때문에 지중연속벽 적용 현장의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으로 많이 적용된다. 하지만 말뚝 하나에 작용하는 하중이 큰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은 시공상의 하자로 인해 지지력이 설계지지력에 미치지 못할 경우 구조물 전체의 사용성과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현장타설말뚝은 지반을 천공 또는 파쇄 후 콘크리트를 직접 타설하고 양생하기 때문에 시공과정에서의 부주의 또는 지반조건의 급격한 변화 등에 의해 말뚝의 건전도(Integrity)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Back, 2014).

현장타설말뚝의 거동 예측과 설계는 수치해석적 방법, 하중전이법, 탄성고체법 등의 근사적인 해석 방법 등에 의해 많이 개선되었지만, 불확실한 지반 조건에 의해 국내 시방서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공사현장에서는 재하시험을 병행하도록 하고 있다(Seol et al., 2008).

말뚝기초의 지지력을 산정하는 대표적인 재하시험의 방법으로는 정적압축재하시험(Static pile load test; SPLT)이 있다. 정적압축재하시험은 실제 말뚝에 작용하는 하중방향으로 사하중을 재하하거나 반력 말뚝의 주면마찰력을 이용하여 하중을 재하하는 방법으로, 말뚝의 지지력을 추정하는 방법 중 가장 신뢰도가 높다. 그러나 정적압축재하시험은 재하용량의 한계성과 현장 시공 여건에 따른 제한성으로 인해 현장타설말뚝에 적용이 곤란한 경우가 흔하게 나타나는 문제점(Choi, 2008)이 있다.

이에 대한 대체 시험 방법으로 양방향재하시험(bi-directional pile load test, BDH PLT)을 많이 사용한다. 양방향재하시험은 말뚝의 선단 부근에 설치된 재하판에 상・하향으로 동일한 힘을 작용시켜 상호간의 반력을 이용하여 주면마찰력과 선단지지력을 측정하기 때문에 정적압축재하시험의 하중재하 방식과 비교하여 최대 2배의 효율을 얻을 수 있고, 하중-변위 곡선으로부터 선단지지력과 주면마찰력의 분리 측정이 가능하며, 좁은 공간, 경사진 곳에서도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현장타설말뚝의 양방향재하시험은 일반적으로 준공 후 사용되는 기초말뚝에 직접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극한지지력까지 하중재하를 할 경우 구조물의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지지력이 설계하중 이상으로 측정되거나 급격한 변위의 발생 시 시험을 종료하고, 그 결과를 지반의 시험지지력으로 판단하여 안정성을 평가한다.

앞서 언급한바와 같이 극한지지력을 판단할 수 있는 하중재하 단계까지의 시험이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하중재하에 의한 항복 및 극한하중을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재하시험의 결과를 등가의 하중-변위 곡선을 추정하는 방법들(Kwon et al., 2006; Loadtest Inc., 2000; Schmertmann and Hayes, 1997)이 제안되어 있지만, 정적압축재하시험과 달리 주면과 선단이 분리되어 하중이 전이되고, 주면부의 하중재하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에 실제 말뚝의 거동과 다른 결과를 줄 우려가 있다(Kwon et al.,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타설말뚝의 양방향재하시험의 결과를 이용하여 정적압축재하시험의 결과를 추정하기 위해 바렛말뚝의 현장 양방향재하시험 결과를 3차원 유한요소해석의 방법으로 역해석 하였고, 그 결과 재산정된 설계정수를 적용하여 정적압축재하시험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정적압축재하시험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의 하중-변위의 결과를 분석하여 현장타설말뚝의 실제 거동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현장에서의 양방향재하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상・하향으로의 하중재하에 따른 변위를 분석하였고, 현장타설말뚝의 지지력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3차원 유한요소해석의 방법으로 양방향재하시험을 모사하고 역해석을 실시하여 설계정수를 재산정하였다. 재산정된 설계정수들을 3차원 유한요소해석의 방법으로 모사된 정적압축재하시험에 적용하여 그 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동일한 현장에서 실시한 양방향재하시험과 정적압축재하시험의 기존의 결과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양방향재하시험을 통한 정적압축재하시험의 결과 추정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기준침하량에 의한 {정적압축재하시험과 양방향재하시험의 지지력 비(y)}~{기준침하량과 말뚝주면장 비(x)}의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2. 현장시험

2.1 개요

바렛말뚝의 양방향재하시험은 Table 1과 같이 현장 여건에 따라 지층상태가 동일한 지역에서 1개소∼3개소씩 각각 실시되었고, (+)십자형 바렛말뚝 3개소, (–)일자형 바렛말뚝 5개소이다. 각각의 지층구조와 말뚝이 근입되어 있는 위치는 Fig. 1과 같다. 시험은 준공 후 사용되는 기초말뚝에서 수행되었고, (+)십자형 바렛말뚝의 규격은 2.8m ×1.2m로 단면적은 5.28m2이다. 그리고 (–)일자형 바렛말뚝의 규격은 각각 2.8m×1.0m, 2.8m×1.2m로 단면적은 각각 2.80m2, 3.36m2이다. 바렛말뚝의 시험종류에 따른 유압장치의 형태는 Fig. 2와 같다.

Table 1. Types and specimens of barrette piles by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Contents Type of pile Standard (m) Length of pile (m) Design bearing capacity (kN)
CB-1-1 (+)barrette pile 2.8 × 1.2 18.30 32,000
CB-1-2 15.20 32,000
CB-1-3 17.10 32,000
FB-1 (-)barrette pile 2.8 × 1.0 51.90 35,330
FB-2-1 47.90 28,340
FB-2-2 18.0 15,000
FB-3-1 2.8 × 1.2 29.67 20,000
FB-3-2 19.24 17,500

*Description of test name: C, Pile head of shape of a cross; F, Pile head of shape of a flat; B, Barrette pile.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1.jpg
Fig. 1

Results of standard penetration test(N-value) by types of barrette piles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2.jpg
Fig. 2

Loading device of types of barrette piles

2.2 시험방법

정적압축재하시험은 Fig. 3(a)와 같이 말뚝두부에 하중을 재하하는 방식으로 반력말뚝, 반력앵커 등의 반력장치와 큰 규모의 재하장치가 필요하다. 이때 말뚝두부에 재하되는 하중(P)은 주면마찰력(F)과 선단지지력(Q)에 의해 지지되고, 말뚝의 하중전이 측정을 통해 이 두 지지력을 분리하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양방향재하시험은 Fig. 3(b)와 같이 하중재하 장치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유압을 가하면 유압잭의 하부는 하향으로 이동하여 선단지지력을 발생시키고 상부는 동일한 힘으로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말뚝에 주면마찰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말뚝선단 부근의 위치에서 하중을 재하하므로 주면마찰력(F)과 선단지지력(Q)은 서로 반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양방향 말뚝재하시험에서는 별도의 반력시스템이 필요치 않는 장점이 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3.jpg
Fig. 3

Comparison of static pile load test and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Osterberg, 1998)

양방향재하시험은 Fig. 4(a)의 하중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하중을 재하한 후, 하중재하에 따른 변위를 유압장치 상・하판에 미리 설치한 Fig. 4(b)의 변위봉을 통해 측정하였다. 이 때 시험은 ASTM D1143-81(1994)의 규정에 따라 표준재하시험방법으로 실시하였고, 자동화 계측을 수행하여 상・하향으로의 하중재하 주기와 시간 경과에 따른 변위를 측정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4.jpg
Fig. 4

Method of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2.3 현장시험 결과

현장 양방향재하시험에서의 하중재하는 극한지지력이 나타나는 단계까지는 하지 않고, 설계하중을 만족하는 단계까지만 하중재하를 실시하였다. 이는 양방향재하시험을 준공 후 사용되는 기초말뚝에 직접 실시하기 때문에 극한지지력이 발생하는 하중단계까지의 하중재하 시 준공되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하중재하에 의한 재하장치 상・하판의 변위를 Fig. 5와 같이 나타내었다. 결과를 보면, 하중재하에 의한 말뚝의 주면저항과 선단저항이 비교적 동등하게 나타났지만, CB-1-3의 경우에는 재하장치 하판의 변위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선단부근 암반의 상태가 취약하거나 시공 과정에서의 벤토나이트 사용으로 인한 슬라임 및 굴착과정에서의 잔류토에 의한 침전으로 변위가 크게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FB-3-2의 경우에는 근입된 선단부가 짧아 선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면저항이 작게 발휘되어, 주면부 변위가 크게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앞서 분석한 Fig. 5의 하중-변위 결과로부터 허용지지력 분석을 위해 재하장치 상・하판의 변위 중에 작은 값을 기준으로 하여 Fig. 6과 같이 등가하중-변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5.jpg
Fig. 5

Results of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load-displacement)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6.jpg
Fig. 6

Results of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equivalent load-displacement)

2.4 현장시험 결과 분석

동일한 변위 발생 시의 재하하중인 등가하중(시험지지력)은 Table 2와 같이 모두 설계하중을 상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준공 후 사용되는 기초말뚝에 대해 양방향재하시험을 실시하여 극한지지력을 판단할 수 있는 하중재하 단계까지 시험이 실시되지 않았고, 재하장치 상・하판의 변위가 급격하게 증가할 때 시험을 종료하며, 변위가 작게 발생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시험지지력을 판단하기 때문에 하중재하에 의한 정확한 변위의 발생 경향을 알 수가 없다. 또한 현장타설말뚝의 양방향재하시험 시 문제점인 말뚝 선단부의 암반상태, 슬라임, 굴착 중 발생한 잔류토의 침전 등에 의한 영향 또한 명확하게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양방향재하시험은 정적압축재하시험과 달리 주면과 선단이 분리되어 하중전이가 발생하고, 주면부의 하중재하 방향은 반대로 작용하기 때문에 실제 말뚝의 거동과는 다른 결과가 나타날 우려가 있다.

Table 2. Results of bearing capacity of barrette piles

Contents Reference
displacement
(mm)
Upper skin friction
resistance (kN)
Lower skin friction resistance +
end bearing capacity (kN)
Equivalent load
(bearing capacity of test, kN)
Load applied to
design (kN)
CB-1-1 5.358 30,000 21,400 51,400 32,000
CB-1-2 8.515 24,000 19,700 43,700 32,000
CB-1-3 3.385 30,000 15,911 45,991 32,000
FB-1 6.750 17,256 29,000 46,256 15,000
FB-2-1 1.040 52,990 23,290 76,280 35,330
FB-2-2 1.100 42,510 31,240 73,750 28,340
FB-3-1 11.113 27,500 17,010 44,510 20,000
FB-3-2 5.530 13,202 17,500 30,702 17,500

3. 3차원 유한요소해석

3.1 모델링

양방향재하시험의 결과로부터 정적압축재하시험의 결과를 추정하기 위해 Plaxis 3D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Plaxis 3D 프로그램은 여러 가지의 수치해석의 방법 중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PLAXIS, 2012)이다. 여기서, 현장타설말뚝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위해 지반은 Mohr-Coulomb model, 말뚝은 콘크리트 강체로 Linear elastic model이 적용되었다. 또한, 하중은 Surface load element, 재하판은 Plate element를 사용하였으며, 말뚝의 해석 시 주면마찰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말뚝과 지반과의 마찰 저항을 고려하기 위해 Interface element 요소를 사용하였다.

양방향재하시험을 모사하기 위해서 Fig. 7(a)와 같이 모델링하여 재하판이 설치된 위치에서 상향으로의 하중재하와 하향으로의 하중재하로 나누어 해석을 실시하였고, 정적압축재하시험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은 Fig. 7(b)와 같이 실제 현장에서의 시험과 동일하게 말뚝 두부에서 하중을 재하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7.jpg
Fig. 7

Modeling of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3.2 설계정수

3.2.1 Interface 요소

본 연구에서 사용한 Plaxis 3D 프로그램에서 Interface 요소의 일반적인 적용은 현장타설말뚝과 지반 사이의 상호 작용을 모델링하는 것이고, 이 상호 작용의 거친 정도는 Interface 요소 내의 강도 감소 인자(Rinter)를 적절한 값으로 선택하여 모델링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인 현장타설말뚝과 지반층 흙의 경계에 미끄러짐에 의한 상호작용을 모사하기 위해 Fig. 8과 같이 말뚝의 주면에 Interface 요소를 적용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8.jpg
Fig. 8

Modeling according to application of interface element

3.2.2 지반정수

현장타설말뚝 양방향재하시험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에 사용된 지반정수는 현장의 공내재하시험(pressure meter test, P.M.T), 공내전단시험(borehole shear test, B.S.T)의 결과를 그대로 적용(풍화토층, 풍화암층, 연암층)하였고, 현장원위치 시험의 결과가 없는 지층(모래층, 점토층)의 지반정수는 표준관입시험 결과인 N치로부터 기존 연구(Meyerhof, 1956; Terzaghi and Peck, 1967; Bowles, 1974; Peck et al., 1974; Das, 1983; Hunt, 1984; Japanese Society of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1986;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2002;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5)에서 제시하고 있는 값들을 참고하여 가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산정된 각 시험종류별 지반정수는 Table 3과 같다.

Table 3. Results of initial soil properties applied to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Contents Stratum Average
N-Value
Unit weight,
𝛾t (kN/m3)
Deformation modulus,
Es (kN/m2)
Poisson's ratio,
v
Cohesion,
ct (kN/m2)
Internal friction angle,
𝛷 (°)
CB-1 Weathered soil - 19.0 21,883 0.33 23.0 24.7
Weathered rock - 21.0 264,290 0.30 40.0 33.1
Soft rock - 23.0 826,701 0.25 130.0 37.0
FB-1 Sand 16 18.0 20,000 0.33 0.2 31.0
Clay 5 17.0 8,000 0.33 20.0 25.0
Weathered soil - 19.0 10,862 0.33 24.5 26.0
Weathered rock - 21.0 176,367 0.30 29.3 31.3
Soft rock - 23.0 517,500 0.25 91.6 33.9
FB-2 Clay 7 16.5 9,000 0.33 30.0 28.0
Weathered rock - 21.0 254,389 0.30 32.7 30.6
Soft rock - 23.0 694,500 0.25 112.0 35.3
FB-3 Sand 22 18.0 26,000 0.33 0.2 34.0
Weathered soil - 19.0 11,430 0.33 24.0 28.3
Weathered rock - 21.0 204,781 0.30 29.0 30.9
Soft rock - 23.0 `514,394 0.25 108.5 34.9

3.2.3 말뚝 및 하중재하판

3차원 유한요소해석에 사용된 바렛말뚝 및 하중재하판의 설계정수는 Gere and Goodno(2017)을 참고하여 Table 4와 같이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24.0 kN/m3, 탄성계수는 1.7×107∼3.1×107kN/m2 값의 평균값인 2.4×107kN/m2, 포와송비는 0.3을 적용하였고, Table 5와 같이 사용된 재하판의 두께는 50.0mm, 단위중량은 78.5kN/m3 탄성계수는 1.9×108∼2.1×108kN/m2 값의 평균값인 2.0×108kN/m2을 적용하였다.

Table 4. Properties of pile applied to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Gere and Goodno, 2017)

Contents Unit weight, 𝛾t(kN/m3) Modulus of elasticity, E (kN/m2) Poisson's ratio, v
Con'c 24.0 2.4 × 107 0.3

Table 5. Properties of loading plate applied to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Gere and Goodno, 2017)

Contents Thickness of plate, d (mm) Unit weight, 𝛾 t (kN/m3) Modulus of elasticity, E (kN/m2)
Plate 50 78.5 2.0 × 108

3.3 양방향재하시험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

3.3.1 역해석

앞서 산정된 설계정수들을 그대로 적용하여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한 결과, 실제 현장에서의 말뚝 거동과는 차이를 보였다. 그래서 현장시험결과와 유사한 거동을 나타나는 설계정수를 도출하기 위해 역해석을 실시하였다. 역해석 결과, 말뚝에서 재하하중에 따른 변위의 거동에 지배적인 인자는 Interface 요소 값과 지반정수로 나타났다. 여기서, 풍화토층, 풍화암층, 연암층의 지반정수는 현장원위치 시험이 직접 실시되어 신뢰도가 높으므로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지만, 표준관입시험 결과인 N치로부터 산정된 모래층, 점토층의 지반정수는 기존의 연구들을 참고하여 가정된 값이므로 수정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반정수를 제외한 지배적 인자는 Interface 요소 값으로 실제 해석 결과에서도 Interface 요소 값의 변화가 말뚝 재하하중에 따른 변위의 거동에 가장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종류별 동일 지층에서의 말뚝 거동을 적절히 모사하는 Interface 요소의 값은 Table 6과 같다.

Table 6. Value of interface according to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Contents Value of interface (Rinter)
CB-1 0.55
FB-1 0.50
FB-2 0.40
FB-3 0.60

Interface 요소의 변화에 따른 말뚝의 거동은 작은 값의 변화에도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 그러므로 말뚝의 거동이 적절히 모사하는 Interface 요소의 값을 적용하고, 지반의 강성이 풍화암층, 연암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값의 변화에 따른 말뚝의 거동에 영향이 작은 모래층, 점토층의 지반정수를 변화하여 Table 7과 같이 재산정하고 역해석을 종료하였다.

Table 7. Results of soil properties by back analysis

Contents Stratum Unit weight,
𝛾t (kN/m3)
Deformation modulus,
Es (kN/m2)
Poisson's ratio,
v
Cohesion,
c (kN/m2)
Internal friction angle,
𝛷 (°)
CB-1 Weathered soil 19.0 21,883 0.33 23.0 24.7
Weathered rock 21.0 264,290 0.30 40.0 33.1
Soft rock 23.0 826,701 0.25 130.0 37.0
FB-1 Sand 18.0 35,000 0.33 0.2 31.0
Clay 17.0 17,000 0.33 20.0 25.0
Weathered soil 19.0 10,862 0.33 24.5 26.0
Weathered rock 21.0 176,367 0.30 29.3 31.3
Soft rock 23.0 517,500 0.25 91.6 33.9
FB-2 Clay 16.5 11,500 0.33 30.0 20.0
Weathered rock 21.0 254,389 0.30 32.7 30.6
Soft rock 23.0 694,500 0.25 112.0 35.3
FB-3 Sand 18.0 39,000 0.33 0.2 34.0
Weathered soil 19.0 11,430 0.33 24.0 28.3
Weathered rock 21.0 204,781 0.30 29.0 30.9
Soft rock 23.0 514,394 0.25 108.5 34.9

3.3.2 해석 결과

현장타설말뚝의 경우 시공 중 발생되는 슬라임이나 선단부 암반상태를 정확히 모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양방향재하시험을 모사한 수치해석 결과는 선단부보다 주면부에서 더 잘 모사한다(Park and Lim,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 시 현장 양방향재하시험의 하중-변위 결과에서 재하장치 상판의 변위를 기준으로 거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Fig. 9와 같이 바렛말뚝의 총 8개소에서 실시한 양방향재하시험에 의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의 결과는 현장계측에 의한 실제 거동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FB-3-2(Fig. 9(d))의 경우 재하장치 상판에서의 거동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지만, 하판에서는 변위가 크게 발생하여 거동에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는 시공 중 발생되는 슬라임이나 선단부 암반의 상태가 취약하여 발생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9.jpg
Fig. 9

Comparison of results of field measurement and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analysis of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3.4 정적압축재하시험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

바렛말뚝의 양방향재하시험 역해석 결과로부터 재산정된 설계정수들을 적용하여 정적압축재하시험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양방향재하시험의 등가하중-변위 관계와 정적압축재하시험의 하중-변위 관계를 비교하여 Fig. 10과 같이 나타내었다. 결과를 보면 하중재하에 따른 변위의 거동이 시험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선단부근에서 상・하향으로의 하중을 작용시키는 양방향재하시험과 말뚝 두부에서 하중을 작용시키는 정적압축재하시험의 하중재하 방식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10.jpg
Fig. 10

Comparisons of load-displacement results of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and static pile load test by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4. 3차원 유한요소해석 결과 분석

4.1 양방향재하시험과 정적압축재하시험의 거동 차이 분석

양방향재하시험과 정적압축시험을 3차원 유한요소해석으로 분석한 결과, 하중-변위 곡선의 경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양방향재하시험은 유압잭이 설치된 하부지반(일반적으로 강성이 큰 암반층)에서 하중이 먼저 전달되지만, 정적압축재하시험은 상부지반(강성이 암반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토사층)에 하중이 먼저 전달되어 각각의 시험에서 말뚝과 주변지반 사이에 발현되는 주면마찰력의 방향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적압축재하시험의 하중재하 방식에서는 Fig. 11과 같이 말뚝 표면지반의 진행성 파괴(Randolph, M. F. and Wroth, C. P., 1981)에 의해 말뚝 두부에서 발생하는 침하량이 크게 나타나지만, 양방향재하시험의 하중재하 방식은 강성이 큰 하부지반에 하중이 먼저 전달되어 변위가 작게 나타난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11.jpg
Fig. 11

Progressive failure of pile surface element (Randolph and Wroth, 1981)

또한 Fig. 12와 같이 재하하중 증가에 따른 전단응력 변화의 결과를 보면, 초기 하중 작용 시 하중이 작용하는 지반 부근에서 전단응력이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 그리고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전단응력 또한 증가하여 하중은 점점 하부로 전달되며, 변위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는 하중에 도달하게 되면 하부에서 전단응력이 크게 발생하고 상부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경향을 나타낸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12.jpg
Fig. 12

Shear stress variation with depth of static pile load test

그 외의 다른 요인으로는 양방향재하시험에서는 말뚝의 압축량을 고려하지 않으며, Kwon et al.(2006)의 연구에 의하면 양방향재하시험을 이용하여 추정한 말뚝두부 변위는 정적압축재하시험으로 구한 변위에 비해 사용하중 하에서 1/2 미만이다.

4.2 지지력 산정 방법

말뚝의 지지력을 산정하는 방법은 Fig. 13(a)와 같이 극한하중에 안전율을 적용하여 허용지지력을 산정하는 방법과 Fig. 13(b)와 같이 기준침하량에 안전율을 적용하여 허용지지력을 산정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기준침하량에 의한 지지력을 산정하는 방법은 말뚝의 종류와 크기, 현장의 조건, 지반상태, 국가별 등등 기준침하량의 기준을 모두 다르게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많이 적용하고 있는 기준침하량인 10.0mm, 15.0mm, 25.4mm일의 양방향재하시험과 정적압축재하시험 대한 지지력을 비교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13.jpg
Fig. 13

Calculation of bearing capacity by ultimate load and reference displacement

4.3 양방향재하시험과 정적압축재하시험의 관계

앞서 분석한 Fig. 10의 결과로부터 각각의 기준침하량 10.0mm, 15.0mm, 25.4mm일 때의 양방향재하시험과 정적압축재하시험의 결과를 Fig. 14와 같이 {정적압축재하시험과 양방향재하시험의 지지력 비(y)} ~ {기준침하량과 말뚝주면장 비(x)}의 관계로 나타내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14.jpg
Fig. 14

{Bearing capacity ratio(y) of static pile load test and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 {ratio of reference displacement and pile circumference(x)}

4.4 3차원 유한요소해석의 타당성 검증

본 연구에서 제안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으로 현장 양방향재하시험 결과를 역해석하여 정적압축재하시험의 결과를 추정하는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기존 연구(Kwon et al., 2006)의 동일한 지반 조건에서 실시한 양방향재하시험과 정적압축재하시험의 현장 계측 결과를 3차원 유한요소해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4.4.1 해석단면

Kwon et al.(2006)에서 실시한 현장시험의 현장타설말뚝 기초 직경은 1.5m, 총 길이는 33.5m, 암반에 근입된 깊이는 5.0m이다. 여기서, 정적압축재하시험은 기초말뚝에서 실시하였고, 양방향재하시험은 5.0m 떨어진 위치에 시험말뚝을 시공하여 실시하였다. 각각의 말뚝이 시공된 지반조건은 Fig. 15와 같이 거의 동일하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15.jpg
Fig. 15

An interpretation cross-section for the validation of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Kwon et al., 2006)

4.4.2 설계정수

Kwon et al.(2006)의 연구에서 제시한 지반 물성치는 기반암의 변형계수와 포와송비만 제시되어 있어, 모래층은 N치 30의 조밀한 지반, 점토층은 N치 15의 단단한 지반, 자갈층은 N치 50의 조밀한 지반으로 가정하였고, 기존의 문헌을 참고하여 적용된 지반정수를 Table 8과 같이 정리하였다. 또한, 말뚝의 물성은 Table 9와 같이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값을 적용하였으며, 재하판의 물성은 Table 5와 동일한 값을 적용하였다.

Table 8. Soil properties of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or validation of estimation method of static pile load test by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Stratum Unit weight,
𝛾t (kN/m3)
Deformation modulus,
Est (kN/m2)
Poisson's ratio,
v
Cohesion,
ct (kN/m2)
Internal friction angle,
𝛷 (°)
Sand 18 33,500 0.33 0.2 33.0
Clay 18 27,000 0.33 40.0 25.0
Gravel 18 80,000 0.33 0.2 35.0
Breccia (CW) 21 151,000 0.30 60.0 37.0
Breccia (HW) 21 1,000,000 0.30 130.0 37.0

Table 9. Pile properties of existing research (Kwon et al., 2006)

Contents Unit weight, 𝛾t (kN/m3) Modulus of elasticity, E (kN/m2) Poisson's ratio, v
Con'c 23.0 3.0 × 107 0.2

4.4.3 해석결과

양방향재하시험의 현장계측 결과를 이용하여 역해석한 결과는 Fig. 16과 같다. 여기서, 재하장치 상판의 변위를 기준으로 3차원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Kwon et al.(2006)의 연구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선단부 유압잭과 말뚝 선단 사이의 공동에 채워진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말뚝선단과 지반 사이의 공동 등에 의해 재하장치 하판의 변위가 크게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16.jpg
Fig. 16

Results of the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on field (Kwon et al., 2006)

양방향재하시험의 현장계측 결과와 3차원유한요소해석의 결과를 Fig. 17과 같이 등가하중-변위의 관계로 나타내었고, 등가하중-변위의 결과로부터 정적압축재하시험을 모사하였다. 결과를 보면, 양방향재하시험에서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현장계측 결과와 3차원 유한요소해석의 결과가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정적압축재하시험에서는 그 거동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방법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양방향재하시험을 통해 정적압축재하시험의 거동을 추정하는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gss/2019-018-01/N0150180104/images/kgss_18_01_04_F17.jpg
Fig. 17

Comparison of field test and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or validation of estimation method of static pile load test by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인 바렛말뚝의 양방향재하시험 결과를 3차원 유한요소해석으로 모사하고, 정적압축재하시험 결과를 추정하여 양방향재하시험과 정적압축재하시험의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방향재하시험과 정적압축재하시험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비교・분석한 결과, 하중재하 방식에 따른 주면마찰력의 차이로 인해 거동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2) 3차원 유한요소해석으로부터 산정된 양방향재하시험과 정적압축재하시험의 하중-변위 관계에서 발생하는 침하량은 비교적 큰 차이를 보인다. 이는 양방향재하시험은 유압잭이 설치된 하부지반에서 하중이 먼저 전달되지만, 정적압축재하시험은 상부지반에 하중이 먼저 전달되어 말뚝과 주변지반 사이에 발현되는 주면마찰력의 방향이 다르고, 말뚝의 깊이에 따른 지반 강성의 변화와 진행성 파괴에 의해 말뚝 두부의 침하량이 크게 발생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3) 현장타설말뚝의 재하시험 시 시험 말뚝을 따로 제작하여 극한까지의 하중을 재하하고 정적압축재하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허용지지력 결과의 신뢰도 향상에 유리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현장여건에 의해 낮은 하중단계에서의 양방향재하시험만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양방향재하시험을 유한요소해석 방법으로 하중-변위 거동을 모사하여 설계정수를 찾기 위한 역해석을 실시하고, 실제 말뚝의 거동에 적합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에 적용하여 실제 말뚝의 거동에 부합되는 정적압축재하시험 결과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4) 현장타설말뚝의 {정적압축재하시험과 양방향재하시험의 지지력 비(y)} ~ {기준침하량과 말뚝주면장 비(x)}의 관계식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Reference displacement 10.0 mm :
y=–286198x2–451.27x+0.3535

Reference displacement 15.0 mm :
y=228736x2–892.76x+1.3753

Reference displacement 25.4 mm :
y=11888x2–173.37x+1.0176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No. 2018R1D1A1B07048553).

References

1
ASTM D1143-81 (1994), Standard Test Method for Piles Under Static Axial Compressive Load.
2
Back, S. S. (2014), A Study on Construction Method Equivalent Load Displacement Curve using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of Drilled Shaft, M.S.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p.1. (in Korean)
3
Bowles, J. E. (1974), Foundation Analysis and Design, McGRAW-HILL, p.76.
4
Choi, Y. K. (2008), ";A study on the Loading Capacity Standard of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BD PL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28, No.6C, pp.379-388. (in Korean)
5
Das, B. M. (1983), Advanced Soil Mechinics, McGraw-Hill, pp.178-179.
6672086
6
Gere, J. M. and Goodno, B. J. (2017), Mechanics of Materials, 8th Ed., Cengage Learning, pp.956-957.
7
Hunt, R. E. (2005), Geotechnical Engineering Investigation Handbook, 2nd Ed., T & F informa, p.222.
10.1201/9781420039153
8
Japanese Society of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1986), Close-up Construction, Soil Foundation engineering library, p.34. (in Japanese)
9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2002), Road Design Practice 2, Korea Road Association, p.35. (in Korean)
10
Kwon, O. S., Choi, Y. K., Kwon, O. K. and Kim, M. M. (2006), ";Method of Estimating Pile Load-displacement Curve Using Bi-directional Load Test";,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22, No.4, pp.11-19. (in Korean)
11
Loadtest Inc. (2000), Construction of the Equivalent Top-Loaded Load-Settlement Curve from the Results of an O-cell Test, Loadtest appendix to reports.
12
Meyerhof, G. G. (1956), ";Penetration Tests and Bearing Capacity of Cohesionless Soils.";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Division, ASCE, Vol.82, SM1, pp.1-12.
13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5), Road Design Standard,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Seoul, South Korea, p.80. (in Korean)
14
Osterberg, J. O. (1998), The Osterberg Load Test Method for Bored and Driven Piles - The First Ten Years, Presented at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 Exhibition on Piling and Deep Foundations, Deep Foundations Institute, Vienna, Austria, June 1998.
PMC1305302
15
Park, S. W. and Lim, D. S. (2009), ";Evaluation of Load Transfer Characteristics of Barrette Pile Based on Bi-directional Loading Tes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29, No.2C, pp.41-49. (in Korean)
16
Peck, R. B., Hanson, W. E. and Thombum, T. H. (1974), Foundation Engineering. John Wiley & Sons, pp.5-18.
17
PLAXIS (2012), Material Models Manual.
18
Randolph, M. F. and Wroth, C. P. (1981), ";Application of the Failure State in Undrained Simple Shear to the Shaft Capacity of Driven Piles";, Geotechnique, Vol.31, No.1, pp.143-157.
10.1680/geot.1981.31.1.143
19
Schmertmann, J. H. and Hayes, J. A. (1997), The Osterberg Cell and Bored Pile Testing - a Symbiosis, In: Proceedings of 3rd international geotechnical engineering conference, Cairo, Egypt.
20
Seol, H. I., Jeong, S. S., Han, K. T. and Kim. J. Y. (2008), ";Load-Settlement Behavior of Rock-socketed Drilled Shafts by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24, No.11, pp.61-70. (in Korean)
21
Terzaghi, K. and Peck, R. B. (1967), Soil Mechanics in Engineering Practice, 2nd Ed.,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p.196-572.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