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
Analysis of Slope Hazards of Solar Power Plants in Mountain Area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 지역의 산지 재해 발생 특성 분석
-
Ji-Ho Kim, Ki-Il Song, Chan-Young Yune
김지호, 송기일, 윤찬영
- With the increasing adoption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in South Korea, the expansion of solar power plants in mountainous regions has raised …
근래에 국내에서는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도입이 증가함에 따라 산지에 태양광 발전시설이 확산되면서 사면 불안정과 토석류 발생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
- With the increasing adoption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in South Korea, the expansion of solar power plants in mountainous regions has raised concerns over slope instability and the risk of debris flows.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solar power plants on landslide and debris flow occurrences in these region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echniques and numerical simulation model were used to investigate slope stability and debris flow behavior under various rainfall conditions. Case studies were conducted in four domestic regions where recent landslides have occurr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steep slopes tend to form at the boundary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slopes during solar power plant installation, increasing the risk of slope failure during heavy rainfall. Rainfall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slopes with intrinsic instability could fail with relatively low rainfall amounts. Furthermore, debris flow simulations demonstrated that landslides could transition into debris flows, causing damage to nearby roads and residential areas. It was confirmed that the slope stability assessments and debris flow analysis were needed during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olar power plants in mountainous regions to effectively mitigate disaster risks.
- COLLAPSE
근래에 국내에서는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도입이 증가함에 따라 산지에 태양광 발전시설이 확산되면서 사면 불안정과 토석류 발생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지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이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기법과 수치 시뮬레이션 모델을 활용하여 사면 안정성과 강우 조건에 따른 토석류 거동을 조사하였다. 최근 산사태가 발생한 국내 4개 지역을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태양광 발전시설 시공 시 자연사면과 인공사면 경계부에서 급경사지가 형성되어 집중호우 시 사면 붕괴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 자료 분석 결과, 내적으로 불안정한 사면은 비교적 적은 강우량에도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토석류 시뮬레이션 결과, 발생한 산사태가 토석류로 전이되어 유하하면서 인근 도로와 민가에 피해를 유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계 및 시공 시 사면 안정성 평가와 토석류 흐름 분석을 병행하여 재해 위험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Analysis of Slope Hazards of Solar Power Plants in Mountain Area
-
Research Article
-
Correlation Analysis of Soil and Air Temperature on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 Large and Small Cities
대도시와 소도시의 도시열섬 효과에 대한 토양 온도와 대기 온도의 상관관계 분석
-
Ji-Hoon Lee, Chan-Young Yune
이지훈, 윤찬영
-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of large and small cities according to city size, soil …
본 연구에서는 도시 규모에 따른 대도시와 소도시의 도시 열섬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1970년부터 2022년까지 53년간 대도시와 소도시의 깊이별 토양온도와 대기 온도를 조사하고, 최소, …
-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of large and small cities according to city size, soil and air temperature were collected for 53 years from 1970 to 2022. Based on the temperature data, a database of the minimum, maximum, averag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increase rate by underground depth was constructed and the impact of the city size on the heat island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eat island effect was confirmed not only in the air but also in the soil temperature in urban areas, and the short-term and long-term changes in soil temperature were greatly affected by air temperature. In addition, the rate of temperature increase in large cities during both winter and summer was greater than that of small cities, and the difference in the rate of increase in winter was larger than in summer, confirming that the heat island effect in large cities was worsening compared to small cities.
- COLLAPSE
본 연구에서는 도시 규모에 따른 대도시와 소도시의 도시 열섬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1970년부터 2022년까지 53년간 대도시와 소도시의 깊이별 토양온도와 대기 온도를 조사하고, 최소, 최대, 평균 온도 및 깊이 별 온도 증가율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대도시와 소도시의 도시 규모가 열섬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도심지에서 대기뿐만 아니라 토양온도에서도 열섬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토양온도의 단기 및 장기 변화는 대기 온도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도시에서 겨울철과 여름철의 온도상승률이 모두 소도시 대비 크게 나타났으며, 여름보다 겨울에 그 상승률의 차이가 커서 대도시의 열섬현상이 소도시 대비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Correlation Analysis of Soil and Air Temperature on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 Large and Small Cities
-
Research Article
-
Determination of Upper and Lower Estimates of Undrained Shear Strength in Coastal Soil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통계분석을 통한 연안 지반의 비배수전단강도 상한 및 하한 결정 방안
-
Dae-Gun Kim, Yeong-Jae Lee, Woo-Young Kim, Tae-Hyung Kim
김대근, 이영재, 김우영, 김태형
- In domestic design practices, undrained shear strength values are obtained at various depths but are often simplified into a single representative value …
국내 설계에서는 심도별 비배수전단강도를 취득한 후 대표 단일 값을 설계에 사용하고 있어 과소 혹은 과대 설계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
- In domestic design practices, undrained shear strength values are obtained at various depths but are often simplified into a single representative value for design, leading to issues of underdesign or overdesign. To address this, European practices utilize statistical analysis to estimate upper and lower bound values for each soil depth and apply these bounds in design. In this study,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presented in DNV-RP-C207 was applied to undrained shear strength data to determine upper and lower bound values. Specifically, the KernelCPD algorithm from the ruptures library in Python was used to segment the data according to soil depth, followed by the calculation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Based on this CV, the mean value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estimate the upper bound. The lower bound was determined by applying quantile regression to the lower 20%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ly derived upper and lower bounds appropriat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set and are expected to provide suitable design parameters depending on the specific objectives.
- COLLAPSE
국내 설계에서는 심도별 비배수전단강도를 취득한 후 대표 단일 값을 설계에 사용하고 있어 과소 혹은 과대 설계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에서는 통계적 분석을 활용하여 지반 심도별로 상한값과 하한값을 산정하여 설계에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NV-RP-C207에서 제시하는 통계적 분석 방법을 비배수전단강도에 적용하여 상한값과 하한값을 산정하였다. 지반 심도에 따른 비배수전단강도에 대하여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ruptures 라이브러리의 KernelCPD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구간을 나눈 후 변동계수를 계산하였으며 변동계수에 따라 평균값과 선형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상한값을 산정하였다. 하한값은 하위 20%의 데이터에 대해 분위수 회귀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적용한 상한값과 하한값의 결과는 데이터의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되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설계 변수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Determination of Upper and Lower Estimates of Undrained Shear Strength in Coastal Soil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
Research Article
-
Experimental Study on the Pullout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Geogrid under Cyclic Loading
반복하중 효과로 인한 지오그리드의 인발저항 특성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
Wooseok Shin, Jonghyun Kim, Chungsik Yoo
신우석, 김종현, 유충식
- The retaining wall with reinforced soil is exposed to various types of loads, including static active earth pressure caused by the self-weight …
보강토 옹벽은 뒤채움 흙의 자중으로 발생하는 정적인 주동토압뿐만 아니라 지진으로 인한 지진하중, 차량/철도 하중 또는 계절별 온도변화에 기인한 수축/팽창으로 인한 반복하중 등 …
- The retaining wall with reinforced soil is exposed to various types of loads, including static active earth pressure caused by the self-weight of the backfill soil, seismic loads due to earthquakes, vehicle/railroad loads, and cyclic loads induced by seasonal temperature changes causing contraction/expansion. To ensure the intern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the pullout resistance of the installed geogrid must be secured. This study presents the pullout load test results for a geogrid installed in sandy soil under cyclic loading, either in displacement-controlled or load-controlled conditions. In the pullout tests, factors such as the frequency, amplitude, and number of cycles of the pullout load were varied to consider various cyclic loading characteristics. The trends in the maximum pullout resistance and the initial pullout stiffness were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under displacement-controlled cyclic loading, as the amplitude increased, both the pullout resistance and stiffnes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degree of decrease intensifying as the displacement amplitude increased. This trend was also observed in the analysis of changes in pullout stiffness under cyclic loading. On the other hand, under load-controlled cyclic loading, the pullout resistance and cumulative pullout displacement both tended to decrease as the frequency increased over a fixed period, while the pullout resistance decreased and the cumulative displacement increased as the amplitude increased.
- COLLAPSE
보강토 옹벽은 뒤채움 흙의 자중으로 발생하는 정적인 주동토압뿐만 아니라 지진으로 인한 지진하중, 차량/철도 하중 또는 계절별 온도변화에 기인한 수축/팽창으로 인한 반복하중 등 다양한 형태의 하중에 노출되며 옹벽의 내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포설된 지오그리드의 인발저항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위제어 혹은 하중제어 형태로 반복작용이 작용하는 모래지반에 포설된 지오그리드에 대한 인발하중 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인발시험에서는 인발하중의 주파수 및 진폭, 그리고 반복 횟수 등을 변화시켜 다양한 반복하중 특성을 고려하였으며 이에 따른 최대 인발저항력 및 일발 강성도 등의 변화 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변위제어 반복하중 작용 시에는 진폭의 증가함에 따라 인발저항과 강성도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감소 정도는 변위 진폭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반복하중 작용 시 인발 강성도 변화 경향 분석에서도 고찰되었다. 한편, 하중제어로 작용한 반복하중 작용 시 일정한 시간 동안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인발저항력과 누적 인발변위는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진폭이 증가할수록 인발저항력은 감소하고 누적 인발변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Experimental Study on the Pullout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Geogrid under Cyclic Loading
-
Research Article
-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meability Evaluation of Sandy Soil According to Surface Characteristics of Soil Particles
흙 입자의 표면 특성에 따른 사질토의 투수성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
Jeongjun Park, Kyungju Lee, Kicheol Lee, Gigwon Hong
박정준, 이경주, 이기철, 홍기권
- This study describes the results of model experiments to evaluate the effect of soil particle surface characteristics on the permeability of sandy …
본 연구에서는 흙 입자의 표면 특성이 사질토의 투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세립토가 함유되지 않은 표준사 지반의 투수계수는 …
- This study describes the results of model experiments to evaluate the effect of soil particle surface characteristics on the permeability of sandy soil.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of standard sand was very sensitive to changes in permeability coefficient even when the soil particle surface had slightly hydrophobic characteristics, whereas in the case of sandy soil containing fine-grained soil, the decrease rate of permeability coefficient was evaluated to increase significantly when the soil particle surface had a certain level of hydrophobic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whether fine-grained soil was included,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decreased as the contact angle of the soil particle surface increased, but the decrease rate of permeability coefficient also increased only when the contact angle of standard sand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in sandy soil containing fine-grained soil, the contact angle and decrease rate of permeability coefficient increased only when a high level of hydrophobicity was present.
- COLLAPSE
본 연구에서는 흙 입자의 표면 특성이 사질토의 투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세립토가 함유되지 않은 표준사 지반의 투수계수는 흙 입자 표면이 약간의 소수성 특성에도 투수계수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작용하는 반면에, 세립토가 함유된 사질토의 경우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소수성 특성을 보유한 경우에 투수계수의 감소율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세립토의 함유 여부와 관계없이 흙 입자 표면의 접촉각이 증가할수록 투수계수는 감소하였지만, 표준사의 접촉각이 매우 크게 증가하는 경우에만 투수계수 감소율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세립토가 함유된 사질토는 높은 소수성 수준이 나타나야 접촉각 및 투수계수 감소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meability Evaluation of Sandy Soil According to Surface Characteristics of Soil Particles
-
Research Article
-
Optimal Wall Thickness Determination by Excavation Depth for Self-supporting Soil Retaining Walls Using a Vertical Vibrating Jet Grout Device
수직진동 제트 그라우팅 장치를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벽체의 굴착 심도별 최적 벽체두께 산정
-
Hae-Chan Lee, Ju-Yeol Bae, KI-IL Song, Geu-Guwen Yea, Ki-Pyo Jeon
이해찬, 배주열, 송기일, 여규권, 전기표
- The VvJet grouting method, a type of rectangular jet grouting, has recently gained attention as it introduces vertical vibration during soil cutting …
사각 제트 그라우팅 공법 중 수직진동 제트 그라우팅 공법(Vertical vibrating Jet Grout, 이하 VvJet 그라우팅) 은 지반절삭 및 주입과정에서 수직진동을 도입하여 기존 …
- The VvJet grouting method, a type of rectangular jet grouting, has recently gained attention as it introduces vertical vibration during soil cutting and injection processes, addressing issues found in conventional high-pressure grouting techniques. However,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stabl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s using this method remain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VvJet grouting method and analyzes the optimal wall thickness according to excavation depth. To achieve this, field soil investigations and field-scale test were conducted using the VvJet grouting method to form retaining walls. Additionally, core samples extracted from the formed walls and specimens designed to simulate real-scale conditions were tested. The tests included free-free resonance tests and uniaxial compression tests to assess the strength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nstructed walls. Based on these results,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wall thickness for different excavation depths, ensuring structural stability.
- COLLAPSE
사각 제트 그라우팅 공법 중 수직진동 제트 그라우팅 공법(Vertical vibrating Jet Grout, 이하 VvJet 그라우팅) 은 지반절삭 및 주입과정에서 수직진동을 도입하여 기존 고압 그라우팅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최근 주목 받고 있는 공법이다. 그러나 이를 이용한 안정적인 자립식 흙막이 벽체 형성과 관련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vJet 그라우팅 공법의 물리적 특성 평가와 굴착 심도에 따른 최적 벽체 두께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 지반조사와 VvJet 그라우팅 공법을 이용해 벽체를 형성하는 현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형성된 벽체에서 채취된 코어와 실제 시공현장을 고려한 공시체를 제작하여 양단자유단 공진시험, 일축압축시험을 통해 실제 시공 시 벽체의 강도 및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수치해석을 진행하여 안정적인 굴착 심도별 최적 벽체 두께를 산정하였다.
-
Optimal Wall Thickness Determination by Excavation Depth for Self-supporting Soil Retaining Walls Using a Vertical Vibrating Jet Grout Device
-
Research Article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Design Technology for Underground High-Integration of Complex Plants
복합플랜트 지하 고집적 배치를 위한 자동 설계 기술 개발 연구
-
Sewon Kim, Hyun-Jun Choi, Ga-In Kim, Minku Kang, YoungSeok Kim
김세원, 최현준, 김가인, 강민구, 김영석
- Recently, the demand for underground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for waste disposal is increasing due to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Installing large-scale facilities such …
최근 경제 성장과 도시화로 인해 폐기물 처리를 위한 환경기초시설의 지하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복잡하고 대규모인 복합플랜트와 같은 시설을 지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
- Recently, the demand for underground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for waste disposal is increasing due to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Installing large-scale facilities such as complex plants underground requires design techniques that maximiz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and consider the safety of various underground structures. In this paper, the optimal member cross-section for the superstructure and slurry wall integration method was derived to ensure the structural safety of underground space and the stability of the pipe rack module construction method was examined. An automatic design technology based 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was developed Using the analys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design errors and time loss can be minimized through automatic placement simulation that reflects various load conditions and facilities information.
- COLLAPSE
최근 경제 성장과 도시화로 인해 폐기물 처리를 위한 환경기초시설의 지하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복잡하고 대규모인 복합플랜트와 같은 시설을 지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공간 활용 효율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지하 구조물의 안전을 고려한 설계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 공간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토압, 지하수, 시설물 하중, 지진 하중 등 다양한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가장 불리한 하중 조건에서 상부 구조와 슬러리월 일체화 방안에 대한 최적 부재 단면을 도출하고, 파이프랙 모듈 공법 적용 시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해석 결과를 활용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 자동 설계 기술을 개발하여 지하 기초, 상부 구조, 지하 벽체, 기둥, 내벽 등을 3D 모델링으로 구현하였다. 다양한 하중 조건과 속성 정보들을 반영한 자동 배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 오류 및 시간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Design Technology for Underground High-Integration of Complex Plants
-
Research Article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mart Monitoring System for Small-Scale Underground Excavation Work
소규모 지하굴착 공사를 위한 스마트 계측시스템 개발 및 평가
-
Seungjoo Lee, Kiyeon Jeong, Taehoon Lee, YoungSeok Kim
이승주, 정기연, 이태훈, 김영석
- Small-scale underground excavation work in urban areas is often overlooked in safety management, leading to risks due to limitations in manual measurement, …
최근 도심지에서 이루어지는 소규모 굴착 공사는 안전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으며, 수동 계측의 한계, 계측 데이터 관리 부족, 구조 검토 미비 등으로 …
- Small-scale underground excavation work in urban areas is often overlooked in safety management, leading to risks due to limitations in manual measurement, lack of data management, and insufficient structural review. This study addresses these challenges by designing and developing a smart monitoring system specifically for small-scale underground excavation and retaining wall works of less than 10 meters.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the structure of the data device, data logger, and cloud-based smart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followed by validation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s, evaluations by certified testing agencies, and field demonstrations. Notably, precis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s were conducted, along with the verification of 1:N data collection and transmission performance, to assess the applicability and measurement accuracy in actua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ites. Evaluation results demonstrated a measurement error of within 0.07° and a data transmission success rate exceeding 95%. This study confirms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a real-time data-driven accident preven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which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various SOC facilities construction sites in the future.
- COLLAPSE
최근 도심지에서 이루어지는 소규모 굴착 공사는 안전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으며, 수동 계측의 한계, 계측 데이터 관리 부족, 구조 검토 미비 등으로 인해 사고 위험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0m 미만의 소규모 굴착 및 지하흙막이 공사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 계측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스마트 계측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데이터장치, 데이터로거,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계측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이를 실내 실험, 공인 인증기관 평가 및 현장 실증 등을 통해 검증하였다. 특히, 정밀도 및 성능 평가와 함께 1:N 데이터 수집·전송 성능을 검증하여 실제 흙막이 가시설 현장에서의 적용성과 계측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계측 오류는 0.07°이내로 유지되었으며, 데이터 전송률은 95% 이상을 기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규모 지하굴착 공사 현장에서 실시간 데이터 기반 사고 예방 및 유지관리 체계 구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다양한 SOC 시설물 건설 현장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mart Monitoring System for Small-Scale Underground Excavation Work
-
Research Article
-
Advanced Rock Type Classification Using Deep Learning: A Data-Driven Approach to Tunnel Stability Monitoring and Maintenance
딥러닝을 활용한 암석 분류 프레임워크: 터널 안정성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 기반 접근 방식
-
Seungjoo Lee, Yongseong Kim, Yongjin Kim, Jongseol Park, Bongjun Ji
이승주, 김용성, 김용진, 박종설, 지봉준
- Tunnels serve a pivotal role in various infrastructure systems—including roads, railways, and underground facilities—and ensuring their stability is of critical economic and …
터널은 도로, 철도, 지하 인프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터널 안정성 확보는 경제적·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터널의 안정석 …
- Tunnels serve a pivotal role in various infrastructure systems—including roads, railways, and underground facilities—and ensuring their stability is of critical economic and societal importance. Traditional rock classification methods often rely on on-site geological surveys and petrographic/chemical analyses, which can be time-consuming, cost-intensive, and prone to subjective judgments. With the recent advancement in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particularly Deep Learning, it has become possible to automatically learn and classify intricate rock patterns from large-scale image datasets. In this study, we propose a deep learning-based rock classification framework and apply several state-of-the-art models—ResNet, EfficientNet, MobileNet, and others—to both broad categories (igneous, sedimentary, metamorphic) and more fine-grained rock types (e.g., marble, sandstone, phyllite). Our results show that while high accuracies exceeding 90% can be achieved for three-class problems, classification performance drops significantly when expanded to 18 or more subclasses, likely due to the complex microstructures and ambiguous boundaries among rock typ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substantial potential of deep learning in tunnel stability monitoring and maintenance, yet also underscore the necessity of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trategies, multimodal data integration (e.g., microscopic or hyperspectral imaging), and further hyperparameter optimization for more refined rock classification tasks.
- COLLAPSE
터널은 도로, 철도, 지하 인프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터널 안정성 확보는 경제적·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터널의 안정석 확보를 위해서는 암반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기존에는 현장 지질조사와 광물학적·지구화학적 분석 등을 통해 암석을 분류해왔으나, 이는 시간·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고 경험적 판단에 의존하기 쉬운 한계가 있었다. 최근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 특히 딥러닝(Deep learning)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대규모 암석 이미지를 통해 복잡한 패턴을 자동으로 학습하고 분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을 활용한 암반 분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화성암·퇴적암·변성암을 비롯하여 여러 세분류 암석(예: 대리암, 사암, 편암 등)에 대해 다양한 딥러닝 모델을 적용·비교·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대분류(3분류) 단계에서는 ResNet, EfficientNet, MobileNet 등에서 90% 이상의 높은 정확도를 달성하였으나, 18개 이상의 세분류로 확대할 경우 전반적으로 정확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암석의 조직과 광물 조합이 매우 복잡하고, 클래스 간 경계가 모호해지는 점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를 통해, 딥러닝 기반 암석 분류가 터널 안정성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 분야에서 높은 잠재력을 지님을 확인하였으나, 세분화된 암석 분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추가 데이터가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Advanced Rock Type Classification Using Deep Learning: A Data-Driven Approach to Tunnel Stability Monitoring and Maintenance
-
Research Article
-
Analysis of Undrained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ine Content of Mixed Soil
혼합토의 세립분 함유율에 따른 비배수전단강도 특성 분석
-
Jae-Hwi Kim, Chan-Young Park, Seung-Joo Lee, YoungSeok Kim, Da-Bin Kwon, Ja-Yong Choi, Soon-Joo Choi, Yong-Seong Kim
김재휘, 박찬영, 이승주, 김영석, 권다빈, 최자용, 최순주, 김용성
- In this study, in order to present the content of the converted fine particles of the sand-clay mixed soil, indoor and non-drain …
본 연구에서는 모래-점토 혼합토의 전환 세립분 함유율을 제시하기 위해 다양한 세립분 함유율과 상대밀도를 조정하여 실내 시험 및 비배수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건조퇴적법을 활용하여 …
- In this study, in order to present the content of the converted fine particles of the sand-clay mixed soil, indoor and non-drain triaxial compression tests were conducted by adjusting the content and relative density of various fine particles. Relative density was adjusted by using the dry deposition method, and the specimen was prepared at various mixing ratios by adjusting the ratio of sand and clay to 0-100%, and the test results compared and analyzed the void ratio, the skeletal void ratio, shear strength, and maximum axis stres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hear strength decreased as the fine particle content increa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void ratio, the skeletal void ratio, and the shear strength all showed similar behavior to clay in the fine particle content of 20% or more. Therefore, it is not considered appropriate to uniformly apply the soil classification criteria of sandy soil and viscous soil, and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reasonable soil classification standard including the content of the converted fine particles as various studies on the mixed soil continue in the future.
- COLLAPSE
본 연구에서는 모래-점토 혼합토의 전환 세립분 함유율을 제시하기 위해 다양한 세립분 함유율과 상대밀도를 조정하여 실내 시험 및 비배수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건조퇴적법을 활용하여 상대밀도를 조정하였으며, 모래와 점토의 비율을 0~100%로 조정하며 다양한 혼합비율로 공시체를 제조하였고, 시험 결과를 통해 간극비 및 골격 간극비와 전단강도 및 최대 축차응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립분 함유율이 증가할수록 전단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세립분 함유율 20% 이상에서 간극비와 골격 간극비, 전단강도 모두 점토와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현재 사질토와 점성토의 토질분류 기준을 획일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혼합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어 전환 세립분 함유율을 포함한 합리적인 흙 분류 기준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Analysis of Undrained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ine Content of Mixed Soil
-
Research Article
-
Numerical Analysis of Settlement Behavior of Caisson-Type Breakwaters and Ground Improvement Effects Considering Excess Pore Water Pressure Dissipation
과잉간극수압 소산에 따른 케이슨식 방파제의 침하 및 지반 개량 효과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Hyeonsu Yun, Seong-Kyu Yun, Sanghyeon Choi, Gichun Kang
윤현수, 윤성규, 최상현, 강기천
- Earthquakes are a major factor affecting the stability of marine structures, and liquefaction occurs in saturated sandy soils, causing damage such as …
지진은 해양 구조물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액상화는 포화된 사질토 지반에서 발생하여 구조물의 침하, 기울어짐, 붕괴 등과 같은 피해를 발생시킨다. 2017년 …
- Earthquakes are a major factor affecting the stability of marine structures, and liquefaction occurs in saturated sandy soils, causing damage such as settlement, tilting, and collapse of structures. The 2017 Pohang earthquake was the first case of liquefaction in South Korea, resulting in damages at Yeongilman Port, including caisson settlement (approximately 10cm), hinterland settlement (10–20cm), and horizontal displacement (less than 15cm). In seismic response analysis, undrained conditions are typically assumed; however, this approach has limitations as it fails to account for additional displacements occurring after the dissipation of excess pore water pressure. To address this issue, an analysis considering drained conditions is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iquefaction-induced damage under drained conditions considering the dissipation of excess pore water pressure and explores methods to mitigate damage through ground improvement. As a result, the stability of the caisson breakwater was secured by improving the sandy ground beneath the caisson.
- COLLAPSE
지진은 해양 구조물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액상화는 포화된 사질토 지반에서 발생하여 구조물의 침하, 기울어짐, 붕괴 등과 같은 피해를 발생시킨다. 2017년 포항지진으로 인해 국내 최초로 액상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영일만항에서 케이슨의 침하(약 10cm), 배후지 침하(10~20cm), 수평변위(15cm 이하)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또한 지진 응답해석의 경우 주로 비배수조건으로 수행하지만, 과잉간극수압 소산 후 추가 변위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배수조건을 고려한 해석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배수조건시 과잉간극수압 소산에 따른 액상화 피해에 대해 규명하며, 지반개량으로 인한 피해 저감 방법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케이슨 하부의 모래지반에 개량을 통해 케이슨 방파제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
Numerical Analysis of Settlement Behavior of Caisson-Type Breakwaters and Ground Improvement Effects Considering Excess Pore Water Pressure Dissipation
-
Research Article
-
Analysis of Support Behavior in Parallel Tunnels Under Varying Lateral Pressure Coefficients and Earth Pressure
측압계수 및 편토압 변화에 따른 병설 터널의 지보재 거동 분석
-
Hak-Beom Lee, Chan-Young Park, Seung-Joo Lee, YoungSeok Kim, Da-Bin Kwon, Ja-Yong Choi, Seong-Lim Lee, Yong-Seong Kim
이학범, 박찬영, 이승주, 김영석, 권다빈, 최자용, 이성림, 김용성
- In this study, GTS NX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lateral pressure coefficient and earth pressure on …
본 연구에서는 측압계수와 편토압이 터널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안정성 확보를 위한 대책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GTS NX 수치해석을 활용하여 다양한 지형 조건에서 …
- In this study, GTS NX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lateral pressure coefficient and earth pressure on tunnel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lateral pressure coefficient increased, both the tunnel's convergence and crown displacement also increased, with the largest displacement observed at a coefficient of 2.0. Additionally, as the terrain slope increased, tunnel displacement tended to grow; however, the rate of increase diminished beyond a 30° slope. The analysis of rock bolt axial force revealed asymmetric behavior, with the side of the tunnel experiencing greater earth pressure exhibiting higher stress than the other side. The maximum axial force occurred at the upper sections of the rock bolt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for slopes exceeding 30°. Through this study, the influence of lateral pressure coefficient and earth pressure variations on tunnel stability was quantitatively analyzed.
- COLLAPSE
본 연구에서는 측압계수와 편토압이 터널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안정성 확보를 위한 대책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GTS NX 수치해석을 활용하여 다양한 지형 조건에서 측압계수 변화에 따른 터널 및 지보재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측압계수가 증가할수록 터널의 내공 변위와 전단 변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측압계수 2.0에서 변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지형 경사가 증가할수록 터널 변위가 커졌으나, 경사 30°이상에서는 증가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록볼트의 축력 분석 결과, 더 큰 토압을 받는 터널측이 적은 토압을 받는 터널측보다 높은 응력을 받는 비대칭적 거동을 나타냈으며, 최대 축력은 경사 30°이상에서 좌측과 우측 상단부 록볼트에서 발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측압계수 및 편토압 변화가 터널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향후 실제 시공 현장의 계측 데이터를 활용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Analysis of Support Behavior in Parallel Tunnels Under Varying Lateral Pressure Coefficients and Earth Pressure